While the specialty coffee market is fascinating and has created a large consumer base, there are many ways to enjoy coffee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enjoy coffee
(there is a paradoxical atmosphere that coffee doesn't have a right answer, and yet it seems to impose a right answer).
I wanted to take a look at how coffee is enjoyed in different countries.
스페셜티 커피 시장이 매력적이기도 하고 소비자층이 많이 생겨나기는 했으나
커피를 즐기는 방식은 다양하기 때문에 (난양 올드커피 로스팅 과정을 보고 기겁하던 때가 생각난다 ㅋㅋ)
https://www.youtube.com/watch?v=kruj3vUcgTQ

(커피에 정답이 없다고 하면서도 정답을 강요하는듯한 분위기가 또 역설적으로 존재하는 분위기랄까)
각 나라마다 어떻게 커피를 즐기고 있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 싶었다.
1. 커피 문화 및 스페셜티 커피의 배경
- 커피의 기원과 확산
- 커피는 에티오피아에서 시작되어 중동(예멘 지역을 통해)과 유럽으로 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이후 각 지역의 식문화를 토대로 다양한 커피 음용 방식이 생겨나면서, 이탈리아식 에스프레소, 터키식 커피, 베트남식 연유 커피 등으로 발전했습니다.
- 스페셜티 커피(Specialty Coffee)의 정의
- 스페셜티 커피는 일반적으로 SCA(Specialty Coffee Association)의 평가 기준(100점 만점의 80점 이상)을 충족하는 고품질의 생두를 말합니다.
- 재배부터 가공, 유통, 로스팅, 추출 방식까지 전 과정에서 전문성과 품질 관리가 이루어집니다.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제3의 물결(Third Wave Coffee)”로 불리는 고품질 커피 문화가 확산하면서, 스페셜티 커피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시장 규모 및 트렌드
- 국제커피기구(ICO)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커피 소비량은 약 1억 7천만 포대(약 1포대=60kg)를 넘어섰습니다.
- 그중에서도 스페셜티 커피 시장은 연평균 7~9% 이상 성장률을 보인다는 전망이 있으며, 이는 일반 커머셜 커피 시장보다도 더 높은 수치로 추정됩니다.
- 소비자들은 단순히 ‘카페인 섭취’가 아닌, 향미와 재배 산지의 스토리를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고, 이는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출처:[InternationalCoffeeOrganization(ICO)](https://www.ico.org),[SpecialtyCoffeeAssociation(SCA)](https://sca.coffee)출처: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ICO)](https://www.ico.org),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SCA)](https://sca.coffee)
- 출처:[InternationalCoffeeOrganization(ICO)](https://www.ico.org),[SpecialtyCoffeeAssociation(SCA)](https://sca.coffee)
🇹🇷 1️⃣ 터키 커피 (Türk Kahvesi)
- 기원: 터키, 오스만 제국
- 주요 특징:
- 초미세 분쇄 원두 사용
- 설탕과 함께 작은 주전자 **‘체즈베(Cezve)’**에서 끓여 추출
- 거름망 없이 커피 가루를 그대로 담아내어, 컵 아래에 원두 찌꺼기가 남음
- 맛: 진하고 강렬한 맛, 진한 쓴맛과 달콤함이 공존
- 독특한 문화: 커피 찌꺼기로 **점술(커피 점)**을 보는 전통

🇪🇹 2️⃣ 에티오피아 커피 (Ethiopian Coffee Ceremony)
- 기원: 에티오피아 (커피의 발상지)
- 주요 특징:
- 원두를 불에 직접 볶고, 빻아서 즉석에서 추출
- **‘제베나(Jebena)’**라는 도자기 주전자를 사용
- 보통 3번에 걸쳐 커피를 추출하는 ‘3차례 서빙’ 문화
3차례 서빙은 어떤 의미인가?
☕️ 1차 서빙: 아볼(Abole)
- 의미: 첫 번째 서빙은 가장 진하고 강렬한 맛을 냅니다.
- 특징: 커피의 본질적인 풍미와 진한 바디감이 특징입니다.
- 의미: 첫 잔은 존경과 우정을 의미하며, 손님을 환대하는 표시입니다.
☕️ 2차 서빙: 토나(Tona)
- 의미: 두 번째 서빙은 첫 번째 추출 후 물을 더 추가해 만든 커피로, 맛이 더 부드럽고 연합니다.
- 특징: 커피의 강렬함은 줄어들지만, 향은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 의미: 커피 의식이 공동체와의 연결을 상징하며, 대화를 더 부드럽게 이어가는 역할을 합니다.
☕️ 3차 서빙: 바라카(Baraka)
- 의미: 세 번째 서빙은 가장 연한 커피로, 거의 차에 가까운 느낌을 줍니다.
- 특징: 커피의 풍미는 약해지지만, 은은한 향과 가벼운 느낌이 특징입니다.
- 의미: ‘바라카(Baraka)’는 ‘축복(Blessing)’을 의미하며, 마지막 서빙은 손님에게 평화와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맛: 밝은 산미, 과일향, 꽃향기
- 독특한 문화: 커피 의식은 하루 중 중요한 사교 시간

🇮🇹 3️⃣ 에스프레소 (Espresso)
- 기원: 이탈리아
- 주요 특징:
- 고압력 머신으로 짧은 시간에 원두를 추출
- 진하고 크레마(거품)가 특징
-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카푸치노, 라떼, 마끼아또 등이 만들어짐
- 맛: 진하고 농축된 맛, 크레마로 부드러운 질감
- 독특한 문화: 바(Bar)에서 서서 마시는 문화

미국은 이탈리아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면서도 다양성·편의성 중심의 문화를 가지고 있는것 같아요.
- 미국은 스타벅스(Starbucks)를 비롯해 큰 사이즈의 테이크아웃 커피 문화가 익숙합니다. 동시에 스페셜티 커피를 추구하는 ‘제3의 물결’이 크게 자리 잡아, 블루보틀(Blue Bottle), 인텔리젠시아(Intelligentsia), 스텀프타운(Stumptown) 등 다양한 스페셜티 브랜드가 생겨났습니다.
🇻🇳 4️⃣ 베트남 커피 (Vietnamese Coffee)
- 기원: 베트남 (프랑스 식민지 시대 도입)
- 주요 특징:
- 로부스타 원두 사용
- 연유를 넣어 달콤한 맛 강조
- **‘핀(Phin)’**이라는 드립 필터로 느리게 추출
- 대표 음료: 카페 쓰어 다(Cà Phê Sữa Đá) – 연유를 넣은 아이스 커피
- 맛: 진하고 달콤하며 묵직한 바디감
- 독특한 문화: 길거리에서 커피를 천천히 음미하는 여유로운 문화

🇯🇵 5️⃣ 일본의 규반 커피 (Kyuban Coffee)
- 기원: 일본
- 주요 특징:
- 주로 사이폰(Siphon) 커피 추출기 사용
- 과학적이고 정밀한 커피 추출 방식
- 한 잔 한 잔이 예술작품처럼 다뤄짐
- 맛: 맑고 깨끗한 풍미, 섬세한 산미
- 독특한 문화: 느리고 섬세한 커피 의식
- 정성스러운 핸드드립 문화:
일본은 1970년대부터 핸드드립(도자기 드리퍼, 사이폰 등)을 오랜 시간 연구해왔습니다. 따라서 스페셜티 커피 자체가 등장하기 전부터 이미 ‘정성스럽게 추출하는 커피’에 대한 전통이 있었죠.

🇲🇽 6️⃣ 멕시코 카페 데 올라 (Café de Olla)
- 기원: 멕시코 농촌 지역
- 주요 특징:
- 커피를 **흙 냄비(올라, Olla)**에서 끓임
- 시나몬 스틱과 흑설탕(필론실로, Piloncillo)을 함께 넣어 끓임
- 맛: 달콤하고 시나몬 향이 강함
- 독특한 문화: 농촌 지역의 전통 커피

🇸🇦 7️⃣ 사우디 아라비아의 가흐와 (Qahwa)
- 기원: 중동 사막 지역
- 주요 특징:
- 원두를 가볍게 로스팅 (연한 황갈색)
- 카다멈(Cardamom), 정향(Clove), 계피(Cinnamon) 등의 향신료 추가
- 맛: 약간 쓴맛과 향신료의 풍미
- 독특한 문화: 대추야자와 함께 제공되는 전통

🇬🇷 8️⃣ 그리스 커피 (Greek Coffee)
- 기원: 그리스 (터키 커피와 유사)
- 주요 특징:
- 초미세 분쇄 원두 사용
- 작은 주전자(브리키, Briki)에서 끓여내는 방식
- 맛: 진하고 강렬한 맛, 커피 가루가 남음
- 독특한 문화: 천천히 음미하며 여유를 즐김

🇰🇷 9️⃣ 한국식 믹스커피 (Korean Instant Coffee Mix)
- 기원: 한국 (1960년대 도입)
- 주요 특징:
- 인스턴트 커피, 설탕, 프림이 하나의 스틱에 혼합
- 주로 뜨거운 물에 타서 섞어 마심
- 맛: 달고 부드러운 맛, 진한 향
- 독특한 문화: 사무실과 여행지에서 필수 아이템

🎯 10️⃣ 각 커피 스타일의 특징 요약
지역
|
커피 스타일
|
주요 특징
|
🇹🇷 터키
|
Türk Kahvesi
|
진하고 강렬, 설탕 추가, 점술 문화
|
🇪🇹 에티오피아
|
Coffee Ceremony
|
과일향, 의식적 추출
|
🇮🇹 이탈리아
|
Espresso
|
고압력, 진한 농축 커피
|
🇻🇳 베트남
|
Cà Phê Sữa Đá
|
달콤, 연유 사용
|
🇯🇵 일본
|
Siphon Coffee
|
과학적, 맑고 섬세
|
🇲🇽 멕시코
|
Café de Olla
|
시나몬과 흑설탕
|
🇸🇦 사우디
|
Qahwa
|
향신료, 가볍게 로스팅
|
🇬🇷 그리스
|
Greek Coffee
|
터키 커피와 유사
|
🇰🇷 한국
|
Mix Coffee
|
달고 부드러움
|
🌟 결론: 다양성 속에서 발견하는 커피의 매력
스페셜티 시장의 확산:
- 고품질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각국의 전통 커피 문화와 접목한 스페셜티 커피가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소비자 교육·체험 기회 확대 : 스페셜티 커피는 재배·가공·로스팅·추출 등 전 과정에서 세심한 관리가 중요한 만큼, 소비자도 다양한 방식으로 커피의 풍미를 직접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장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로컬 커피 문화와 공존 : 나라별로 깊이 뿌리내린 커피 전통이 존재하므로, 스페셜티 커피가 단순히 ‘서구적 고급 문화’가 아니라 현지 문화와 결합·재해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먹고 마시고 즐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도에서 특별한 저녁식사를 경험했어요. LA코코보일링 오이도본점 / (4) | 2025.01.10 |
---|---|
CES 2025 미리보기: 글로벌 혁신 기술과 산업별 주요 사례 (6) | 2025.01.03 |
파주문산 임진각 오리고기 맛집 황금터 (0) | 2025.01.02 |
쿠우쿠우 상위호환 고메스퀘어 배곧직영점 해물 스시 샐러드바 뷔페 (Kukkukoo Top Compatibility Gourmet Square Baegeumdae Branch Seafood Sushi Salad Bar Buffet) (8) | 2025.01.01 |
2025년 (을사년)은 왜 "푸른뱀(파란뱀)의 해" 일까요? (4)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