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뷰어
60대 이후 직업을 위한 자격증 선택 시 주의점 (Precautions When Choosing a Certification)
MY Life logs
2025. 1. 18. 15:42
728x90
https://www.youtube.com/watch?v=q97eLRJvkdQ
1. 자격증 선택 시 주의점 (Precautions When Choosing a Certification)
① 정보의 신뢰성 확인 (Verify the Credibility of Information)
- 자격증에 대한 정보를 얻을 때 반드시 출처를 확인해야 합니다.
- 신뢰할 수 없는 정보에 의존하면 시간과 비용만 낭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Always verify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certifications.
- Relying on unreliable sources may result in wasted time and money.
② 취업 공고 확인 (Check Job Postings)
- 자격증 요구 사항이 포함된 구인 공고가 얼마나 많은지 확인하세요.
- 예를 들어, 드론 자격증은 유망하지만 실제로 관련 취업 공고는 많지 않습니다.
- Check how many job postings require the certification you're considering.
- For instance, drone certifications are promising but have few actual job postings.
③ 연령과 경력의 영향 (Consider Age and Experience)
- 기술 자격증은 초기 경력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 50~60대의 경우 경력 부족으로 인해 경쟁력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Technical certifications often pose challenges in building initial experience.
- For individuals in their 50s and 60s, lack of experience may lower competitiveness.
2. 주요 자격증의 현실 (The Reality of Popular Certifications)
① 지게차와 굴삭기 자격증 (Forklift and Excavator Certifications)
- 장점 (Advantages): 구인 공고가 많아 상대적으로 취업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단점 (Disadvantages): 초기 경력 형성의 어려움과 직업 환경의 열악함.
- 연봉 (Salary): 초임은 약 2천만 원대, 경력이 쌓이면 3천만 원대 이상 가능.
- Advantages: Many job postings, making it easier to find a position.
- Disadvantages: Challenges in gaining initial experience and poor job conditions.
- Salary: Entry-level salaries start at around 20 million KRW and rise above 30 million KRW with experience.
② 전기기능사 (Electrician Certification)
- 전기 분야는 안정적인 취업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0대 초반에는 빠르게 취업할 수 있습니다.
- 아파트나 시설 관리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체력적으로 무리가 없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 The electrical field offers stable job prospects, especially for early 50s.
- Applicable in various fields like apartment and facility management.
- Suitable for those without significant physical limitations.
③ 사회복지사 (Social Worker Certification)
- 일자리 공고가 많고, 인터넷 수강과 실습을 통해 비교적 쉽게 취득할 수 있습니다.
- 요양원, 주간 보호센터, 공공 영역 등에서 근무 가능.
- 늦은 나이에 시작하면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Many job postings, and it’s relatively easy to acquire through online classes and practice.
- Can work in nursing homes, day care centers, and public sectors.
- May face limitations when starting at an older age.
④ 숲해설가 (Forest Interpreter Certification)
- 은퇴 후 소일거리로 적합하며 정규직 일자리는 드뭅니다.
- 회당 4~5만 원의 수입으로 경제적 이익보다는 취미 목적에 가깝습니다.
- Suitable as a post-retirement hobby; full-time jobs are rare.
- Earn 40,000–50,000 KRW per session, more for leisure than economic gain.
⑤ 병원 동행 매니저 (Hospital Companion Manager)
- 구인 공고는 많지 않으며, 월 약 160만 원의 수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제한적인 일자리 환경으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 Few job postings, with an expected monthly income of around 1.6 million KRW.
- Limited job opportunities require careful consideration.
3. 취업 가능성이 높은 자격증 (Certifications with High Employment Potential)
① 운전면허증 (Driver's License)
- 택시 운전사로 바로 취업 가능하며 진입 장벽이 낮습니다.
- Provides immediate employment opportunities as a taxi driver with low entry barriers.
② 요양보호사 (Caregiver Certification)
- 취득이 쉽고 일자리가 많지만 근무 환경이 힘들 수 있습니다.
- Easy to acquire with many job openings, but working conditions may be challenging.
③ 조경기능사 (Landscape Gardening Certification)
- 60대 초반까지 가능하지만 체력적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 Suitable for early 60s, though physically demanding.
4. 자격증 선택의 핵심 (Key Points in Certification Selection)
① 본인의 특성 파악 (Understand Your Strengths)
- 사람을 상대하는 것이 좋은지, 서류 작업이 적합한지 등 자신의 특성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Identify whether you prefer interacting with people or doing clerical work.
② 취업 가능성 확인 (Check Employment Opportunities)
- 자격증만으로 취업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구인 공고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Employment is not guaranteed with certifications; check job postings first.
③ 현실적인 기대 (Set Realistic Expectations)
- 초임은 낮을 수 있지만 경력이 쌓이면 임금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Initial salaries may be low, but wages increase with experience.
결론 (Conclusion)
50대 이후의 취업을 위해 자격증을 선택할 때는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적성과 실제 취업 가능성을 고려하여 선택하고, 충분한 준비를 통해 성공적인 재취업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When choosing a certification for employment after 50, careful consideration is crucial. Evaluate your aptitude and real job opportunities to achieve successful reemployment with proper preparation.